사진설명 = 부산 좋은삼선병원, 척추센터 · 신경외과 김종열 센터장

척추관은 척추 안을 통과하는 터널 같은 구조다. 척추관 협착증은 이 통로가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면서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허리디스크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척추질환으로, 허리디스크는 젤리처럼 말랑한 디스크 물질이 신경을 누르는 반면, 척추관 협착증은 인대, 뼈, 관절 등이 비대해지거나 자라나 척추관을 좁히며 신경을 압박한다.

척추관 협착증은 선천적 또는 후천적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겉으로는 정상처럼 보이는 사람 중에도 태어날 때부터 척추관이 좁은 경우가 있으며, 이들은 작은 디스크 돌출에도 심한 통증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은 노화로 인해 발생한다. 나이가 들면서 척추뼈가 두꺼워지고, 척추관을 둘러싼 인대와 근육이 탄력을 잃어 공간이 좁아지고 신경을 압박하게 되는 것이다.

척추관 협착증과 허리디스크는 모두 요추신경이 눌려 다리 저림과 보행 장애를 유발할 수 있어 혼동하기 쉽다. 그러나 원인과 증상 양상에는 차이가 있다. 허리디스크는 젤리같은 디스크가 신경을 누르는 급성 질환인 반면, 척추관 협착증은 딱딱한 뼈나 관절이 신경을 압박하면서 서서히 진행된다.

또한, 허리디스크는 통증이 지속적이고 자세 변화와 상관없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척추관 협착증은 허리를 구부리면 통증이 줄고, 조금만 걸어도 다리가 저리고 아픈 보행 장애가 특징이다. 특히 노인층에서 허리를 앞으로 굽히고 걷는 경우 척추관 협착증을 의심할 수 있다.

척추관 협착증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허리를 앞으로 굽힐 때 통증이 줄어들고, 뒤로 젖힐 때 심해진다.

· 누운 자세에서 일어날 때는 힘들지만, 움직이면 통증이 완화된다.

· 오래 걸으면 다리가 저리고 감각이 둔해지지만, 잠시 앉아 쉬면 다시 걸을 수 있다.

· 허리 통증보다 골반과 다리 통증이 더 심하다.

치료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뉜다. 보존적 치료는 안정, 약물(소염제, 근육이완제), 물리치료(열치료, 마사지), 보조기 착용 등이 포함된다.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이러한 방법으로도 관리가 가능하다.

수술적 치료는 좁아진 척추관을 넓혀 신경 압박을 해소하는 신경 감압술이 기본이다. 그러나 압박 부위가 넓거나 감압술로 인해 척추가 불안정해질 경우에는 척추 유합술이 추가로 필요할 수 있다. 최근에는 최소한의 절개로 주변 조직 손상을 줄이는 최소침습수술법도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다만 척추관 협착증이 진단됐다고 해서 모두 수술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김종열 센터장은 "나이가 들면 누구나 척추관이 조금씩 좁아진다"며 "일상생활에 큰 불편이 없다면 수술 없이 보존적 치료만으로 관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척추 건강을 위해서는 허리 근력 강화 운동, 스트레칭, 수영 등이 도움이 된다. 또한 흡연은 요통을 악화시키므로 피하고, 한 자세로 장시간 있는 것도 피하는 것이 좋다.

김종열 센터장은 "척추관 협착증은 퇴행성 질환인 만큼 생활 습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며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허리에 무리를 주는 행동은 척추의 퇴행성 변화를 촉진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올바른 척추 자세를 유지하고, 체중을 적정하게 관리하는 것도 척추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