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설명 = 좋은삼선병원, 비뇨의학과 이권경 과장

태아 시기 고환은 복강 내에 있다가 임신 23~35주 사이 음낭으로 내려온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문제가 생겨 내려오지 않거나 다시 올라가는 경우 ‘잠복고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출생 후 3개월 이내 자연적으로 내려오는 경우도 있으나, 생후 1세 이후까지 내려오지 않으면 고환 조직 변성이 발생해 불임의 원인이 되거나 고환암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생후 6~12개월 사이에 적절한 평가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정상 만삭아에서도 약 1~3%는 잠복고환이 발생하며, 미숙아의 경우 최대 30%까지 보고된다.

문제는 소아비뇨의학과 전문의가 매우 부족하다는 점이다. 현재 국내 전문의는 9명에 불과하며, 이 중 7명이 서울에 근무한다. 향후 5년 후에는 전국에서 6명만 진료할 것으로 예상돼 환아들이 적절한 치료를 받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렇다면 어떤 경우에 병원을 방문해야 할까. 실제 진료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례1. 생후 15개월 남아 A군은 샤워 도중 음낭이 불쑥 커졌다가 다시 작아지는 것을 발견해 병원을 찾았다. 진찰과 문진 결과 ‘교통성 음낭수종’으로 진단돼 수술적 치료를 받았다.

사례2. 생후 46개월 남아 B군은 24개월 무렵부터 고환이 음낭에 있다가 없어지는 것을 관찰했으나 별문제 없다고 여겨 지내왔다. 그러나 최근 아이가 통증을 호소해 확인해 보니 사타구니에 염증과 발적이 나타났다. 초음파 검사 결과 고환염전과 이소성 고환이 진단돼 결국 고환 절제술을 받았다.

사례3. 생후 28개월 남아는 기저귀를 갈던 중 고환이 올라갔다 내려오는 증상이 발견됐다. 진찰 결과 ‘견축고환’으로 확인돼 수술 대신 경과 관찰을 하기로 했다. 이는 고환이 상부로 당겨져 있는 ‘활주고환’과 달라 즉각적인 수술은 필요하지 않은 경우였다.

소아는 단순히 성인의 축소판이 아니며 성장 단계에 맞는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이다.
좋은삼선병원 비뇨의학과 이권경 과장은 “하지만 가장 늦은 것이 가장 빠른 것이라는 말처럼, 발견되는 즉시 비뇨의학과 전문의를 만나 상담하는 것이 아이의 고환 건강을 지키는 지름길”이라고 강조했다.